Table of contents

    제가 알고 있던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네임 시스템) 192.168.0.1 같은 IP 주소를 www.naver.com 같은 영문 주소로 바꾸어 주거나 혹은 반대로 동작하게끔 도와주는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IP 주소를 설정할 , 아래 그림처럼 '기본 설정 DNS 서버' '보조 DNS 서버' 도데체 무엇인가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처음에는 DNS 통신사에서 알아서 동작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조사를 해보니 이유는 자동으로 할당을 받아서 였기 때문이었네요.

     

    결국 대부분의 사람들은 몰랐겠지만 컴퓨터 내부에는 DNS 서버 주소가 있어야 영문 주소 기반의 인터넷 동작이 있었던 것입니다.

     

     

     

    기본 설정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

     

    기본 설정 DNS 서버는 이름 그대로 기본적인 DNS 서버를 의미합니다.

     

    보조 DNS 서버는 기본 DNS 서버가 동작하지 않을 때, 보조로 이용되는 DNS 서버입니다.

     

     

     

    주요 DNS 서버 목록

     

    아래의 표는 주요 DNS 목록입니다.

     

    주요 DNS 목록 중에서도 우리가 알만한 것들만 정리해봤습니다.

     

    참고로, DNS 주소를 구글로 설정하면 유투브, 스팀 해외와 연관있는 시스템을 활용할 속도가 일부 상승한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여지지만, 자신의 인터넷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구글 DNS 변경을 시도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같네요.)

     

    운영주체 기본 DNS 보조 DNS
    KT 168.126.63.1 168.126.63.2
    LG유플러스 164.124.107.9 203.248.242.2
    SK브로드밴드 210.220.163.82 219.250.36.130
    구글 8.8.8.8 8.8.4.4

     

     

     

    사설 DNS 서버

     

    그런데 보다보니 가끔 사설 DNS 서버를 활용하는 곳도 있었습니다.

     

    이미 존재하고 있는 서비스(또는 프로토콜)인데, 굳이 만들지? 라는 의문이 드네요.

     

    찾아보니 이유는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예로, 사내에서만 접속하는 그룹웨어는 굳이 외부에서 영문형 주소를 필요가 없는 경우입니다.

     

    반대로 외부에서도 접속이 되는 그룹웨어를 활용하는 경우입니다.

     

    공인된 DNS 서버를 활용하기보다 자신들에게 최적화된 DNS 서버를 활용하면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보안적인 측면도 있다고 합니다.

     

    확실한 내용은 아니지만, 개념상 접근해보면 기업에서 네이버와 같은 특정 사이트를 차단하는 용도로도 활용이 있을 같네요.